본문 바로가기
아마존 개발자 취업 노하우

아마존 개발자 레벨

by 개발자 민디 2022. 11. 3.

 

오늘은 아마존 개발자 레벨을 정리해보는 글을 써보려고 해요.

한국에서 사원/대리/과장/차장 등의 직급이 있듯이 아마존을 비롯한 북미 빅테크 기업들에도 개발자 레벨이 있답니다.

 

아마존에서는 개발자들을 SDE(Software Development Engineer)라고 불러요.

SDE 레벨은 SDE1, SDE2, SDE3, Principal SDE, Senior Principal SDE 까지 총 다섯개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각 레벨은 Level 4, 5, 6, 7, 8에 매칭되는데요. 개발 직군은 기본적으로 Level 4부터 시작하게 되어 있어요.

 

1. SDE1 (L4)

- SDE1은 신입 레벨로써, L4(Level4)라고도 불려요.

- 주로 막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이나, 경력 1~3년 정도의 사람들이 SDE1 레벨로 일을 시작합니다. 물론 경력이 짧아도 실력이 되고 면접을 잘보면 SDE2로 갈 수도 있어요.

- 주로 SDE2의 지도를 받아 하나의 프로젝트 내에서 태스크를 전담해서 하거나, 혹은 작은 프로젝트를 도맡아서 하기도 해요.

 

2. SDE2 (L5)

- 짧게는 개발 경력 1~2년부터, 길게는 10년 이상의 개발자들까지, 아주 다양한 레벨의 사람들이 SDE2로 일하고 있어요.

- 아마존에서 가장 많은 개발자들이 SDE2 레벨에 있습니다. 원한다면 진급을 하지 않고 평생 SDE2에 머무를 수도 있어요. 이를 Terminal level 이라고 하는데요. Terminal level 이란, 진급을 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회사에서 해고되지 않는 레벨을 말해요. 공식적으로는 SDE2가 Terminal level 이지만, 요즘 들어서는 SDE2에서도 너무 오래 머무르면 진급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가게 된다고 하긴 하네요.

- SDE2부터는 팀내에서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합니다. 요구사항 분석부터 설계, 개발, 운영 및 유지보수 등 프로젝트의 모든것을 책임지며 일합니다.

 

3.  SDE3 (L6, Senior SDE)

- 본격적인 시니어 레벨입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경력 최소 6~7년 이상의 개발자들이 SDE3로 일하고 있어요.

- 이때부터는 팀내의 프로젝트들을 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팀들과 연동되는 서비스를 구상하거나 여러 팀들이 얽혀있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팀 외적으로도 기여를 많이 하게 돼요.

- 또한 팀내의 팀원들을 가이드 해주거나 멘토 역할을 해주기도 합니다.

- 매니저와 함께 적극적으로 팀을 위한 일거리 등을 고민하기도 해요.

 

4. Principal SDE (L7), Senior Principal SDE (L8)

- 이 레벨부터는 경력이 많다고 해서 쉽게 진급할 수 없어요. 개발 실력이 정말 뛰어나고 팀과 회사에 기여하는 바가 많아야 가능한 레벨입니다. 개발쪽으로 임원급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 팀을 넘어서서 그룹내, 혹은 그룹간에 영향을 끼치는 일들을 하게 돼요.

 

보통 한국에서 개발자로 일을 하시다가 아마존으로 오게 되시는 경우, 대부분 SDE2 레벨로 일을 하게 되실거에요.

레벨별로 하는 일이 다른만큼 연봉도 다르고 면접 방식도 조금씩 다른데요.

이에 대한 부분들은 다음에 하나씩 차근차근 소개해보도록 할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