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아마존 면접과 채용은 어떤 단계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서류 전형
- 먼저 지원을 하고 이력서를 보내는 ‘서류 전형’ 단계가 있어요. 이 단계에서는 지원자가 기본 지원 자격 조건에 충족되는지를 확인합니다.
2. 코딩 테스트 (혹은 전화 인터뷰)
- 서류 전형이 통과하고 나면 코딩 테스트를 하게 돼요. 코딩 테스트는 온라인으로 진행하는데요. 서류 전형이 통과하고 며칠 내에 온라인 코딩 테스트에 대한 이메일을 받게 되실 거에요. 이메일을 받고 난 후 보통 일주일 이내로 코딩 테스트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편하신 날짜와 시간대에 정해진 사이트 주소로 접속해서 테스트를 보시면 돼요.
- 테스트는 약 2시간 정도 소요되어요. 팀마다 조금씩 다를 수는 있겠지만, 저의 경우 코딩 테스트 2문제에 약 한시간 반정도 시간이 주어졌고, 그 외 평소 일하는 스타일에 관한 질문들과 설문조사를 위한 시간이 20여분 정도 주어졌어요.
- 저와 남편은 코딩 테스트로 진행했는데, 간혹 한시간짜리 전화 인터뷰로 코딩 테스트를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3. 최종 면접
- 마지막 단계이자 가장 중요하면서도 핵심적인 단계라고 볼 수 있죠. 최종 면접은 네다섯시간에 걸쳐서 보게 돼요.
- SDE1은 알고리즘과 LP라고 불리는 Leadership Principals 질문들로 면접이 이루어지구요. SDE2부터는 시스템 디자인도 추가 되어요.
- 총 시간은 네다섯시간이지만, 실제로는 한시간짜리 면접을 4~5번 보게 되는 식으로 구성되어요. SDE1은 4~5번의 면접 모두 알고리즘 + LP Questions로 구성이 되고, SDE2부터는 3~4번의 알고리즘 + LP Questions 면접과 1번의 시스템 디자인 + LP Questions 면접으로 구성이 됩니다.
4. Reference 확인 및 Background 체크
- 최종 면접을 통과하면 합격!이지만, 실제로 채용이 확정되기 전에 Reference 및 지원자의 Background를 체크하는 단계를 거쳐요. 이 단계에서는 지원자가 이력서에 적은 내용이 정말로 맞는지, 지원자의 범죄 기록은 없는지 등을 체크합니다.
- 이력서에 적은 내용을 체크하기 위해서 이전 직장들의 상사나 동료의 연락처를 물어보는데요. 아무래도 레퍼런스를 해주시는 분이 한국에 계시는 경우 시차가 있을 수도 있고, 영어로 소통해야 한다는 어려움도 있기 때문에,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같이 전달하시면서 전화보다는 이메일을 선호한다고 리쿠르터에게 전해주시면 좋아요. 아, 그리고 이때 레퍼런스 해주시는 분의 개인 이메일이 아닌 회사 이메일을 전달해주시구요.
5. 연봉 협상 및 Offer letter 싸인
- 레퍼런스와 백그라운드 체크를 진행하면서, Offer letter(채용 계약서)도 받게 되실 거에요. 이 단계에서 연봉 협상을 하게 됩니다.
- Offer letter에 적힌 연봉이 마음에 드신다면 싸인을 해서 보내주시면 되고, 연봉 협상의 여지가 있다면 원하시는 연봉과 그 이유를 적어 담당자와 소통하시면 되어요. 그렇게 해서 최종 Offer letter에 싸인을 해서 보내게 되면 채용 관련한 중요한 절차는 모두 끝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오늘은 아마존 면접 및 채용 단계에 대해 간략히 알아봤어요.
아마 최종 면접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준비하는지, 연봉 협상은 어떻게 하는게 좋은지 궁금하신 분들도 많으실 것 같은데요.
그런 내용들도 따로 좀 더 자세히 정리해서 하나씩 올려볼게요🙂
혹시라도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다면 mindifulness.k+dev@gmail.com 으로 메일 보내주세요!
'아마존 개발자 취업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리는 어떻게 찾고, 지원은 어떻게 하나요? (0) | 2022.11.04 |
---|---|
아마존 개발자 레벨 (0) | 2022.11.03 |
댓글